⊙ 일반

고려 동북9성

언제나그기 2024. 1. 15. 14:42

동북 9성 (1108년, 예종3년, 2월)

○ 고려사 > 권별 보기 > 世家 > 세가 권제12 > 예종(睿宗) 3년 > 2월 > 윤관이 여진 평정을 하례하는 표문을 올리다

윤관이 여진 평정을 하례하는 표문을 올리다
무신 윤관(尹瓘)이 여진(女眞)을 평정하고 새로 6성을 쌓았으므로 표문을 받들어 하례하였다. 공험진(公嶮鎭)에 비를 세워 경계로 삼았다.

※ 6성 : 영주(英州)·복주(福州)·웅주(雄州)·길주(吉州)·함주(咸州) 및 공험진(公嶮鎭)
※ 3성 : 의주(宜州)·통태(通泰)·평융(平戎)

Link : https://db.history.go.kr/goryeo/level.do?levelId=kr_012r_0080_0020_0100&types=r

고려시대 사료 DB

세가 권제12 축소 좁게 확대 열기 닫기

db.history.go.kr


○ 고려사 > 권별 보기 > 世家 > 세가 권제12 > 예종(睿宗) 3년 > 3월 > 윤관이 노획물을 바치다

윤관이 노획물을 바치다
경진 윤관(尹瓘)이 포로 346구와 말 96필, 소 300여 마리를 바쳤다. 윤관이 또 의주(宜州)·통태(通泰)·평융(平戎)에 세 성을 쌓고, 남계(南界)의 백성을 이주시켜 새로 쌓은 9성을 채웠다.

Link : https://db.history.go.kr/goryeo/level.do?levelId=kr_012r_0080_0030_0020&types=r

고려시대 사료 DB

세가 권제12 축소 좁게 확대 열기 닫기

db.history.go.kr


○ 고려사 > 권별 보기 > 列傳 > 열전 권제9 > 제신(諸臣) > 윤관 > 윤관이 공험진에 성과 기념비를 세우고 예종에게 하례 표문을 올리다

윤관이 공험진에 성과 기념비를 세우고 예종에게 하례 표문을 올리다
윤관(尹瓘)이 영주(英州)·복주(福州)·웅주(雄州)·길주(吉州)·함주(咸州) 및 공험진(公嶮鎭)에 성을 쌓고, 드디어 공험진에 비(碑)를 세워 경계로 삼았다. 그 아들인 윤언순(尹彦純)을 보내 하례하는 표문을 올려 말하기를, “성인(聖人)의 덕은, 진실로 천지에 합당하여 인의(仁義)의 군사가 이미 오랑캐를 평정하였으니, 장수와 병졸은 이미 환호하였습니다. 생각해보면, 동여진(東女眞)은 오지(奧地)에 잠복하며.....(후략)

Link : https://db.history.go.kr/goryeo/level.do?levelId=kr_096r_0010_0030_0070&types=r

고려시대 사료 DB

윤관(尹瓘)이 영주(英州)·복주(福州)·웅주(雄州)·길주(吉州)·함주(咸州) 및 공험진(公嶮鎭)에 성을 쌓고, 드디어 공험진에 비(碑)를 세워 경계로 삼았다. 그 아들인 윤언순(尹彦純)을 보내 하례

db.history.go.kr


○ 고려사 > 권별 보기 > 列傳 > 열전 권제9 > 제신(諸臣) > 윤관 > 윤관이 동북 9성을 축조하고 남쪽 지방의 백성들을 이주시키다    

윤관이 동북 9성을 축조하고 남쪽 지방의 백성들을 이주시키다
윤관(尹瓘)이 포로 346구(口)와 말 96필, 소 300여 마리(頭)를 바치고 의주(宜州)와 통태진(通泰鎭)·평융진(平戎鎭)의 2진과 함주(咸州)·영주(英州)·웅주(雄州)·길주(吉州)·복주(福州)와 공험진(公嶮鎭)에 성을 쌓고 북계(北界) 9성이라 하였으며, 모두 남계(南界)의 민(民)을 이주시켜 성을 채웠다.

Link : https://db.history.go.kr/goryeo/level.do?levelId=kr_096r_0010_0030_0100&types=r

고려시대 사료 DB

열전 권제9 축소 좁게 확대 열기 닫기

db.history.go.kr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공험진

고려사 > 卷五十八 > 志 卷第十二 > 地理 三 > 동계 > 함주대도독부 > 공험진

공험진
공험진(公嶮鎭)은 예종 3년(1108)에 성(城)을 쌓아 진(鎭)을 설치하고 방어사(防禦使)로 삼았다. 〈예종〉6년(1111)에 산성을 쌓았다.【공주(孔州) 혹은 광주(匡州)라고도 한다. 혹은 선춘령(先春嶺) 동남쪽·백두산(白頭山) 동북쪽에 있다고도 한다. 혹은 소하강(蘇下江)변에 있다고도 한다.】

Link : https://db.history.go.kr/goryeo/level.do?levelId=kr_058r_0010_0030_0110_0060&types=r

고려시대 사료 DB

HOI kr_058r_0010_0030_0110_0060

db.history.go.kr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동북9성 위치에 대한 고찰

○ Link : https://db.history.go.kr/item/level.do?sort=levelId&dir=ASC&start=1&limit=20&page=1&setId=-1&prevPage=0&prevLimit=&itemId=hn&types=&synonym=off&chinessChar=on&levelId=hn_034_0040_0020&position=-1

자료일람 | 한국사데이터베이스

우리가 흔히 고려 때 동북면 지역이라고 하면 오늘날 함경도 일원에 국한하여 생각하지만 『高麗史』의 기록을 보면 두만강 유역은 물론 그 북쪽으로 나아가서 綏芬河·흑룡강·송화강까지 미

db.history.go.kr



○ Link: http://www.goodmorningcc.com/news/articleView.html?idxno=301654

[동북 9성을 찾아서 ⑤] 공험진은 경원도호부 북쪽 700리에 위치 - 굿모닝충청

[굿모닝충청 조하준 기자] 앞선 기사에서 사서의 기록을 살펴보며 윤관 장군의 동북 9성이 어디에 있었는지를 대략적으로 파악했다. 쌍성총관부 수복 당시의 기록과 1362년 원나라 나하추가 이끈

www.goodmorningcc.com



○ Link : http://m.hmh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5220

고려 윤관 9성 위치 지도는 국민을 기만하는 작태이다

한국사 교과서의 역사왜곡을 알아보는 시간을 가진다. 여러 검인정 교과서의 지도는 거의 비슷하다. 그래서 그중 금성교과서를 통해서 잘못된 부분을 알아보도록 한다. 한국사 교과서를 보면

m.hmhtimes.com



○ Link : http://contents.history.go.kr/front/tg/view.do?treeId=0100&levelId=tg_002_1050

교과서 용어해설 | 우리역사넷

[내용] 한반도 북부와 만주 일대에 거주하던 여진족이 11세기 말 완옌부[完顔部]를 중심으로 세력을 확장하면서 고려와 여진족 사이에 긴장 관계가 형성되었다. 고려는 이 일대 여진족에 대하여

contents.history.go.kr